의학

위식도 역류질환, 역류성 식도염

관찰이 2020. 12. 19. 20:41

안녕하세요 관찰이 입니다. 이번에는 위식도 역류질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흔하게 역류성 식도염으로도 알고계시는 질환입니다

 

위식도 역류질환(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은 흔한 질환인데요

위산이 역류하는 것으로 인해 많은 불편감을 호소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이 질환이 발생하는 원인은 대표적으로

하부 식도 괄약근 (식도 아래쪽을 조여주는 근육)의 이완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데요

이로인해서 위에서 분비되는 산이 식도로 역류하게 되는 질환입니다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지방기 많은 음식, 커피, 콜라, 초콜렛, 흡연, 음주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전형적인 증상으로는 가슴 쓰림 (heartburn) 증상과 신물이 올라오는 산 역류 증상이 있습니다

내원하시는 환자분들은 '가슴이 타는듯 하다' '신물이 올라온다' 는 이야기를 많이 하십니다

 

이러한 산 역류증상은 음식을 많이 먹고 나서 누운 자세에서 많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 위산이 자꾸 분비되다보면 만성 기침을 호소할 수 있는데요

호흡기적인 문제가 아니라 소화기의 위산 역류로 인해서 기침을 하는것이므로 만성적으로 기침을 하시는 분들에 대해서 꼭 의심해봐야할 질환입니다

진단을 위한 방법으로는 상부위장관 내시경, 24시간 식도 pH 측정등의 방법이 있으나

 

신물이 올라오고 가슴이 쓰린 전형적인 증상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증상이 반복되신다면 꼭 주변 병원에 방문하셔서 상담을 통해 치료할 수 있도록 하셔야 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치료는 양성자펌프 억제제 (Proton Pump Inhibitor, PPI)를 이용하여 위산의 과도한 분비를 억제하는 방식으로 치료를 합니다

 

대표적 성분 : omeprzole, lansoprazole, rabeprazole, pantoprazole esomeprazole

 

최근에 칼륨 경쟁적 위산분비억제제(potassium-competitive acid blocker, P-CAB) 또한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요, 이역시 산분비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역류성 식도염 치료에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대표적 성분 : tegoprazan

 

이외에도 H2 수용체 길항제, 위장관 운동 촉진제, 위점막 보호제 등의 약물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각가지 약물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추후 추가 포스팅을 통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식도 역류질환의 합병증으로는

 

바렛 식도 (Barrett's esophagus), 소화성 협착, 위 궤양, 출혈 등이 있을수 있는데 특히 바렛식도는 10% 정도 암의 유발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꼭 주의해야할 질환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위식도 역류질환 치료를 위한 생활습관 조절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금연, 금주, 역류성 식도염을 악화 시킬수 있는 음식 (커피, 지방질 많음 음식, 초콜렛 등) 피하기

 

2. 식사 후 바로 눕는 습관 피하기

-> 아무리 약물치료를 하더라도 식사 후 바로 눕는 등의 습관이 있다면 적절한 치료가 어렵습니다

 

3. 항콜린제, CCB (칼슘 채널 억제제) 등이 악화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이를 복용하시고 계시는 경우라면 꼭 의사와 상담하기

-> 만약 이러한 약물들의 복용이 꼭 필요하신 분들이라면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조절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횡문근 융해증 (Rhabdomyolysis)  (0) 2020.12.22
파상풍  (0) 2020.12.22
편두통  (0) 2020.12.21
고지혈증 이상지질혈증 결과의 해석  (0) 2020.12.21
당뇨병 진단 기준  (0) 2020.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