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관찰이입니다. 많은 분들이 채혈을 통해서 고지혈증 검사를 하셨을텐데요
검사 결과를 통해 고지혈증 수치가 높다 낮다 등의 이야기를 들으셨을텐데
검사 항목들이 정확히 어떻게 구성되어있고 각각의 결과가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 지에 대해서 이번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혈관안에 콜레스테롤이 쌓여서 많은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이기 때문에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먼저 고지혈증 검사는 12시간 이상 공복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음날 아침에 시행하는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입니다
검사 전에는 과식을 하지 않아야하고 물 이외의 다른 식품을 섭취하지 말아야 합니다
측정하는 것은
1) 전체 콜레스테롤 (total cholesterol)
2) 중성지방 (triglyceride)
3) HDL-cholesterol
위의 세가지 인데요
이를 통해서 LDL-cholesterol 까지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계산하는 방법은
LDL-cholesterol = 전체 콜레스테롤 - HDL-cholesterol - 중성지방/5 를 통해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에도 한계가 있는데 중성지방이 400mg/dL보다 낮은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정리하자면 고지혈증 검사 결과
- 전체 콜레스테롤
- 중성지방
- HDL-cholesterol
- LDL-cholesterol
위의 4가지 수치를 모두 정확하게 아는것이 중요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고지혈증의 경우 위험인자에 따라서 개별화된 치료의 목표를 갖고 있습니다
일단 들어가기전에 위험 인자와 방어인자가 어떤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험인자
1) 나이 : 남자 45세 이상, 여자 55세 이상
2) 조기관상동맥질환의 가족력 : 남자의 경우 부모,형제가 55세 미만에서 관상동맥질환이 발병한경우, 여자의 경우 부모 형제에서 65세 미만에서 관상동맥질환이 발병한경우
3) 혈압 : 140/90mmHg 이상, 약물 복용중인 경우에도 위험인자에 포함
4) HDL-cholesterol이 40mg/dL보다 낮은 경우
방어인자
1) HDL-cholesterol이 60mg/dL보다 높은 경우
각각 위험인자가 몇개인지 확인한후 방어인자에 해당하면 전체 위험인자 갯수에서 1개를 뺍니다
예) 50세 남성, 고혈압 약물 복용중, 가족력 없고, HDL-cholesterol 70mg/dL인 경우
-> 위험인자는 나이, 혈압 2가지
-> 방어인자는 HDL-cholesterol이 60mg/dL보다 높으므로 1가지
====> 총 위험인자는 1가지로 계산
예) 60세 여성, 고혈압 약물 복용하지 않음, 가족력 없고, 혈압 130/80mmHg, HDL-cholesterol 30mg/dL인 경우
-> 위험인자는 나이, HDL-cholesterol이 40mg/dL보다 낮음 총 2가지
-> 방어인자 없음
====> 총 위험인자는 2가지로 계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이러한 위험인자, 방어인자에 따라 LDL cholesterol 목표치와 HDL-cholesterol을 제외한 콜레스테롤의 목표치 (총콜레스테롤 - HDL-cholesterol) 가 달라집니다
아래는 NCEP ATP III 가이드라인에 따른 치료입니다
1) 초고위험군 (관상동맥질환, 허혈성 뇌졸중, 말초혈관질환, 일과성 뇌 허혈 발작)
LDL-cholesterol 목표 : 70mg/dL 미만
HDL-cholesterol을 제외한 (총콜레스테롤 - HDL-cholesterol) 목표 : 100mg/dL 미만
-> LDL-cholesterol이 70mg/dL 이상인 경우 약물 투여를 시작
2) 고위험군 (경동맥질환, 당뇨병, 복부동맥류)
LDL-cholesterol 목표 : 100mg/dL 미만
HDL-cholesterol을 제외한 (총콜레스테롤 - HDL-cholesterol) 목표 : 130mg/dL 미만
-> LDL-cholesterol이 100mg/dL 이상인 경우 약물 투여를 시작
3) 중등도 위험군 (위험인자 2개 이상)
LDL-cholesterol 목표 : 130mg/dL 미만
HDL-cholesterol을 제외한 (총콜레스테롤 - HDL-cholesterol) 목표 : 160mg/dL 미만
-> LDL-cholesterol이 130mg/dL 이상인 경우 생활습관 개선을 충분히 시행해도 130mg/dL 이상인 경우 약물 투여를 시작
4) 저위험군 (위험인자 1개 이하)
LDL-cholesterol 목표 : 160mg/dL 미만
HDL-cholesterol을 제외한 (총콜레스테롤 - HDL-cholesterol) 목표 : 190mg/dL 미만
-> LDL-cholesterol이 160mg/dL 이상인 경우 생활습관 개선을 충분히 시행해도 160mg/dL 이상인 경우 약물 투여를 시작
하지만, 위험인자와 무관하게 LDL-cholesterol이 190mg/dL 이상인 경우에는 즉각으로 약물 투여가 필요합니다
현재 약물로는 스타틴 (statin)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성분명 : rosuvastatin, atorvastatin, simvastatin 등
*2013년 ACC/AHA에서 새로운 가이드라인이 나와서
Four major statin benefit groups 에 대한 개념을 제시하였습니다
즉, 이런 그룹에는 statin을 사용하라는 내용인데요
1. Individuals with clinical ASCVD (arteri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 임상적으로 동맥경화성 심혈관계 질환이 있는 환자군
2. Individuals with LDL-C>190mg/dL
-> LDL-cholesterol이 190mg/dL 이상인 경우
3. Individuals with DM, 40~75 years old with LDL-C 70~189mg/dL and without clinical ASCVD
-> 임상적으로 동맥경화성 심혈관계질환은 없으나 당뇨가 동반된 40~75세의 환자중 LDL-cholesterol이 70~189mg/dL인 경우
4. Individuals without clinical ASCVD or DM with LDL 70~189mg/dL and estimated 10-year ASCVD risk > 7.5%
-> 임상적으로 동맥경화성 심혈관계질환 또는 당뇨는 없으나 LDL-cholesterol이 70~189mg/dL이고 10년안에 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이 발병할 확률이 7.5%보다 높은경우
아래는 향후 10년안에 동맥경화성 심혈관 질환의 발병알 확률을 계산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clincalc.com/Cardiology/ASCVD/PooledCohort.aspx
ASCVD Risk Calculator: 10-Year Risk of First Cardiovascular Event Using Pooled Cohort Equations - ClinCalc.com
Cite This Page Show AMA citation Kane SP. ASCVD Risk Calculator: 10-Year Risk of First Cardiovascular Event Using Pooled Cohort Equations. ClinCalc: https://clincalc.com/Cardiology/ASCVD/PooledCohort.aspx. Updated August 6, 2020. Accessed December 21, 2020
clincalc.com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그렇다면 중성지방이 높은 경우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만약 혈중 중성지방이 500mg/dL보다 높은 경우 다른 원인에 의해서 이렇게 수치가 높은건가 감별해주어야 합니다
만약 중성지방을 높일만할 다른 원인이 없다면
fibrate, 오메가3 (omega-3)등의 약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중성지방이 200~500mg/dL으로 측정되는 경우 우선은 LDL-cholesterol을 낮추는것이 중요하나
적절한 치료에도 중성지방이 계속 높게 측정되면 fibrate, 오메가3등의 약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고지혈증 관리를 위해서는
식이습관 조절 (지방질 들어간 음식 줄이기, 과한 탄수화물 섭취 줄이기)
유산소 운동, 체중감량
등의 생활습관 관리가 필요합니다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횡문근 융해증 (Rhabdomyolysis) (0) | 2020.12.22 |
---|---|
파상풍 (0) | 2020.12.22 |
편두통 (0) | 2020.12.21 |
위식도 역류질환, 역류성 식도염 (0) | 2020.12.19 |
당뇨병 진단 기준 (0) | 2020.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