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혈증 (sepsis)은 기존에 전신염증 반응 증후군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SIRS)와 감염의 증거 가 있는 경우 정의한 개념이었습니다
-기존 SIRS의 정의 (다음 아래 항목중 2가지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SIRS로 정의)
1) 온도가 38도 이상이거나 36도 이하인 경우
2) 심박수가 분당 90회 이상인 경우
3) 호흡수가 분당 20회 이상 or PaCO2 < 32mmHg
4) Leukocyte : 12,000/m^3 or < 4,000/m^3 or >10% band form
하지만 2016년 이후에 새로운 패혈증에 대한 정의가 제시 되었고
SIRS는 더이상 패혈증의 개념의 정의를 내리는데 사용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새롭게 제시된 개념은 SOFA (sepsis-related organ failure assessment score) 입니다
임상적으로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패혈증을 판단하기 위해서 사용되는데
SOFA의 항목은 매우 많고 세부적이기 때문에 일단 선별의 개념인 qSOFA (quick SOFA)를 사용합니다
그럼 먼저 qSOFA의 항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qSOFA
- 저혈압 (Hypotension) : 수축기 혈압이 100mmHg 이하인 경우
- 의식 변화가 있는 경우 (Altered mental status) : GCS score <15 인 경우
- 호흡수가 분당 22회 이상인 경우 (Tachypnea)
위의 3가지 항목중에 2가지를 만족한다면 SOFA를 계산하게 됩니다
SOFA의 항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OFA score | 0 | 1 | 2 | 3 | 4 |
Respiration PaO2/FiO2 (mmHg) |
≥400 | <400 | <300 | <200 (with respiratory support) |
<100 (with respiratory support) |
Coagulation Platelets 10^3/uL |
≥150 | <150 | <100 | <50 | <20 |
Liver Bilirubin mg/dL |
<1.1 | 1.1~1.9 | 2~5.9 | 6~11.9 | >12 |
Cardiovascular Hypotension |
MAP≥70mmHg | MAP<70mmHg | Dopamine≤5 or dobutamine (any dose) | Dopamine >5 or epineprine ≤0.1 or norepinephrin ≤0.1 | Dopamine >15 or epinephrine >0.1 or norepinephrine >0.1 |
CNS Glasgow Coma Scale |
15 | 13~14 | 10~12 | 6~9 | <6 |
Renal Creatinine, mg/dL or urine output |
<1.2 | 1.2~1.9 | 2~3.4 | 3.5~4.9 or < 500mL/d |
>5 or <200mL/d |
이를 간편하게 계산해주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통해 들어가시면 됩니다
clincalc.com/IcuMortality/SOFA.asp
이러한 절차를 통해 계산한 SOFA score가 2점이 넘어갈 경우 패혈증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패혈증에 따른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MAP를 65mmHg 이상 유지하기 위해서 승압제가 필요하고
혈청 lactate가 2mmol/L보다 넘어가는 경우 패혈성 쇼크 (septic shock)으로 진단 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말씀 드린 내용은 아래의 알고리즘에 정리되어 있습니다
패혈증, 패혈성 쇼크의 치료의 목표는 혈역학적으로 안정함을 유지하는것과 감염에대한 치료입니다
*혈역학적 안정을 위한 치료
1. 패혈증에서 MAP 65이상 유지를 위해서는 IV crystalloid가 추천되고 가장 중요한 치료합니다
2. 만약 이렇게 유지하지 못한경우는 승압제 (Vasopressor)를 사용하고 대표적으로 노르에피네프린 (Norepinephrine)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만약 환자가 부정맥이 있는 경우에는 dopamine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적절한 치료에서 혈압이 오르지 않는경우에는 dobutamine, hydrocortisone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경험적 항생제 치료
일반적으로 broad spectrum carabapenem, penicillic/b-lactamase inhibitor 등을 사용합니다
*기타
1. Hb<7인 경우에는 수혈을 할 수 있습니다
2. 혈전증 예방을 위해 저용량 헤파린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만약 급성 신손상이 의심되는 환자의 경우 투석을 할 수 있습니다
4. 혈중 포도당 농도는 180이 넘지 않도록 모니터링 합니다
5. 스트레스 유발 궤양의 방지를 위해 PPI나 H2 blocker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 암검진 (0) | 2020.12.28 |
---|---|
과민성 대장 증후군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0) | 2020.12.24 |
횡문근 융해증 (Rhabdomyolysis) (0) | 2020.12.22 |
파상풍 (0) | 2020.12.22 |
편두통 (0) | 2020.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