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관찰이입니다 오늘은 의학용어 ESBL 에 대해서 무슨 뜻인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ESBL 은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광범위 베타 락타마제) 라는 뜻 입니다
정확히 ESBL 에 대해서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항생제 중 페니실린 계열, 세팔로스포린 계열 항생제에는
베타 락탐 (beta-lactam)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베타 락탐 구조를 파괴하여 항생제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하는것을
베타 락타마제 (beta-lactamase) 라고 이야기 합니다
다시한번 이야기해보면
베타 락탐 beta-lactam에 ~ase 라는 효소를 나타내는 접미어가 붙어서
베타 락타마제 beta-lactamase가 되었고, 베타 락타마제는 베타 락탐 구조를 파괴합니다
ESBL,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는 말 그대로 광범위한 양상으로 베타 락탐 구조를 파괴할 수 있는 물질을 뜻합니다
ESBL은 1980년대 초 3세대 세팔로스포린 계열 항생제를 내놓자마자 이를 분해하는 SHV-2 ESBL이 발견되어 있는데요 그 후로도 다양한 종류의 ESBL이 발견되었 습니다
ESBL이 파괴하는 항생제는 페니실린계열, 광범위한 3세대 세팔로스포린과 일부 4세대 세팔로스포린, aztreonam 등이 있습니다
ESBL은 그람 음성균에만 존재하고 K. pneumoniae 와 E. coli 에 가장 많습니다
ESBL의 작용은 대부분 이러한 beta-lactamase를 억제하는 베타 라타마제 억제제 (beta-lactamase inhibitor)에 의해서 억제됩니다
대표적인 베타 락타마제 억제제는 clavulanic acid (클라불란산)이 있습니다
지금 베타 락탐 관련 용어들이 너무 많이 나와서 조금 복잡하실 수 있으실텐데
제가 아래에 약간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그렇다면 ESBL 을 가진 균들에 대해 좀더 알아보겠습니다
입원기간이 길거나 광범위한 세팔로스포린의 남용 등의 위험인자에 의해 ESBL 생성 균 감염 가능성이 있습니다
ESBL 생성균 치료는 카바페넴 (carbapenem)으로 imipenem이나 meropenem을 사용합니다
대체 약물로 피페라실린-타조박탐 (piperacillin-tazobactam), 세프타지딤-아비박탐 (ceftazidime-avibactam), tigecycline, plazomicin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의학용어 ESBL의 궁금증이 해결되셨을까요?
ESBL에 대해서 하나하나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이였고 관련 지식도 공부해보는 유익한 시간이었던것 같습니다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용어 APN 무슨뜻인지 알아보자 (0) | 2021.01.19 |
---|---|
의학용어 PTE 무슨 뜻일까? 알아보자! (0) | 2021.01.14 |
경계선 인격장애 경계성 인격장애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0) | 2021.01.05 |
모야모야병 (Moyamoya disease) (0) | 2021.01.02 |
간 기능 검사 해석 (Liver Function Test) (0) | 2020.12.30 |